Quacquarelli Symonds(QS) 는 영국의 대학 평가기관으로 전 세계 3대 대학 랭킹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렇다면 QS가 발표한 2020년 대학 순위는 어떨까?
2020년 세계 대학 순위
1위는 MIT 공대
2위는 스탠포드 대학,
3위는 하버드 대학,
4위는 옥스포드 대학,
5위는 칼텍(캘리포니아 공과대학),
6위는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대,
7위는 캠브릿지 대학교,
8위는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UCL),
9위는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10위는 시카고 대학,
11위는 싱가포르 난양 기술대학교,
12위는 싱가포르 국립대,
13위는 프린스턴 대학교,
14위는 코넬 대학교,
15위는 펜실베니아 대학교,
16위는 중국의 칭화 대학교,
17위는 예일 대학교,
18위는 스위스 로잔 연방공대,
19위는 컬럼비아 대학교,
20위는 에든버러 대학교가 차지하였다.
최근 들어 싱가포르의 대학들이 인정을 받고 있으며 중국의 칭화대가 20위권에 등장하였다.
아래의 영상을 통해 2004년부터 2020년까지의 TOP 20 대학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자.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대학들은 어떤 평가를 받고 있을까?
우리나라 최고 대학인 서울대학교의 순위는 37위이다. 영국의 킹스칼리지 런던, 일본의 교토대가 공동 33위 캐나다의 멕길대학교와 미국의 UCLA가 공동 35위이고 그 뒤를 서울대가 차지한 것이다. 그 밑에 카이스트가 41위에 있다.
그 후 일본의 도후쿠 대학이 82위에 있고 우리나라의 고려대가 83위에 랭크되어 있다. 87위에는 포항공대가 보인다.
그뒤 95위에 성균관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이로써 세계 100위 안에 우리나라 대학교는 총 5개로 서울대 37위, 카이스트 41위, 고려대 83위, 포항공대 87위, 성균관대 95위 순이다.
우리나라가 아닌 이웃 나라들은 어떨까?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중국의 최고 대학은 칭화대로 16위를 차지하였고 일본의 최고 대학은 도쿄대학으로 중국의 북경대와 함께 공동 22위를 차지하였다.
우리나라의 대학들도 분발하여 세계 20위권의 대학으로 발돋움하길 기대해 본다. 싱가포르도 했는데 우리나라가 못할 이유는 없다.
다음글
https://smellofmoney.tistory.com/74
대한민국, 한국, 우리나라 부자순위 TOP50 (재산, 나이, 기업명)
우리나라의 가장 부자는 누구일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사람은 역시 삼성그룹의 이건희 회장이다. 포브스에서 발표한 한국의 부자 순위(재벌순위)를 살펴보자. 순위 이름 재산 나이 회사명 1위(�
smellofmoney.tistory.com
댓글